<행동유전학>
1. 정의
행동유전학이란 사람과 동물에 있어 본성과 개인차의 기원을 연구하기 위해 유전학적 방법과 연구 설계에 관심을 둔 심리학의 한 영역이다. 유전자의 발현과 사람의 행동 사이의 관련성을 연구하는 유전학, 행동학, 심리학이 융합된 학문이다.
과학자들이 유전이 행동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에 관해 깨닫기 시작한 이래로 본성 대 양육의 논쟁은 지속되어 왔다. 하지만 현재는 유전과 환경계수를 산출한다. 즉 몇 퍼센트의 유전과 몇 퍼센트의 환경적 요인이 행동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고자 한다. 이제 본성이 우선이냐, 환경이 우선이냐 하는 문제는 더 이상 무의미한 논쟁이다.
2. 행동유전학의 주요 용어
- 염색체(Chromosomes)
세포 내에서 발견되는기다란 DNA. 가닥으로 이루어진 구조물로, 유전의 단위인 유전자를 갖고 있다. 인간은 총 23쌍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다. 유전자는 염색체 위에 선형으로 위치해 있다. - 유전자(Genes)
다음 세대로 넘어가더라도 구조적인 정체성을 지닌다. 서로 섞이지 않는 유전의 단위로 염색체상에 존재한다. 생물 세포의 염색체를 구성하는 DNA가 배열된 방식이다. 기본적으로 단백질 합성을 암호화하는 DNA 염기서열을 말한다.
3. 행동유전학 연구방법
- 유전계수
관찰된 전체 분산 중에서 유전에 기인한 분산의 비율을 말한다. 즉, 어떤 특성이 유전자에 의해 설명되는 변량의 정도를 말한다. 키의 유전계수가 .8이라면, 키 전체 변량의 80%가 유전에 기인한다는 것이다. IQ의 유전계수가 .7이라면, IQ 전체 변량의 70%가 유전에 의해 설명된다는 의미이다. - 행동에 있어 변산(Variability)
인간행동이나 특성의 변산을 볼 때, 네 가지 구성성분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 유전계수(h2) : 유전에 의해 설명될 수 있는 부분을 말한다.
- 공유 환경계수(c2) : 동일한 가정 내에서 자라나는 형제들에 의해서 공유되는 환경들을 말한다.
- 비공유 환경계수(e2) : 공유되지 않는 환경들을 말한다.
- 측정오류 : 특성을 측정할 때 일어날 수 있는 오류를 말한다. - 쌍둥이 연구 : 연구하고자 하는 특성 혹은 행동을 자가 보고식이나 관찰자평점으로 측정한다. 일란성 쌍둥이 쌍들의 상관계수, 이란성 쌍둥이 쌍들의 상관계수를 구한다. 유전계수를 계산한다.
- 입양아 연구 : 주로 환경의 영향을 살펴보는 데 사용된다. 입양아들은 종종 양부모보다 생물학적 부모와 더 유사한 경향이 있다. 양형제, 자매와의 상관관계는 공유 환경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추정한다.
4. 기질 및 성격특성의 유전성
기질이란 전반적인 ‘정서적 성질’ 혹은, ‘초기 아동기에 나타난 타고난(Inherited) 성격 특성’들을 말한다. 성격(Personality)보다 더욱 유전에 기초한다.
버스와 플로민(Buss & Plomin)의 세 가지 기질
- 활동성 수준(Activity Level)
개인의 에너지와 행동의 전반적인 산출량을 말하며 크게 활력과 템포로 나누어서 볼 수 있다. - 사회성(Sociability)
혼자 있는 것보다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있는 것을 더 선호하는 경향성을 말한다. 타인들과의 상호작용 과정에 가치를 부여한다. - 정서성(Emotionality)
당혹스러운 상황에서 생리적으로 쉽고 강하게 각성되는 경향성을 말한다. 똑같은 상황에서 스트레스를 더 크게 느낀다. 고통, 분노, 공포의 세 가지 정서와 관련 있다. 행복 유전자는 세로토닌과 관련된다.
5. 성격특성의 유전성
많은 성격특성들의 유전성이 발견된다. 예를 들어 성격의 5요인 (성실성, 우호성, 신경증적 기질, 외향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에서 유전계수는 4~6개이다.
연구결과, 유전계수와 비공유 환경계수가 높다. 공유 환경은 성격에 별로 영향이 없다. 모델이 가장 적합성이 높다. 행동유전학자들이 해야 할 일은 구체적인 유전자를 찾고 비공유 환경 변량의 원천을 찾는 것이다. 왜 공유환경이 영향력이 없는지에 관해서도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성격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격심리학 3장> 성격검사 및 특질이론 (0) | 2022.07.01 |
---|---|
<성격심리학 2장> 성격연구 방법론 (0) | 2022.06.30 |
<성격심리학 1장> 성격심리학의 개념 (0) | 2022.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