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자 소개 9 / 에드워드 존 모스틴 보울비(Edward John Mostyn Bowlby)
<학자소개>
에드워드 존 모스틴 보울비(Edward John Mostyn Bowlby, 1907년 2월 26일 ~ 1990년 9월 2일)는 영국의 심리학자, 정신과의사, 정신분석학자이다. 아동발달(child development)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애착이론(attachment theory)을 창시하였다. 2002년 발행한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조사에서 보울비는 20세기 가장 많이 인용된 심리학자 49위에 올랐다.
<가족배경>
7세 무렵, 보울비는 기숙학교에 보내졌다. 당시 같은 계층 소년들에게 있어 이는 흔한 일이었다. 보울비의 부모는 보울비와 형 토니(Tony)를 사립초등학교(preparatory school)에 보내어서 폭격으로부터 지키려고 하였다. 『Separation: Anxiety and Anger』(1973)에서 보울비는 이때가 엄청 끔찍했던 때라고 기술하였다. "7살 당시, 나는 개 한마리도 기숙학교에 보낼 수 없었다."고 진술하였다.[ 그렇지만 그 이전에 보울비는 기숙학교가 8세 이상 아동에게 적합하다고 밝히기도 했다. 1951년 그는 다음과 같이 썼다.
"만약 아이가 가정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면, 일년 중 며칠간은 아이에게 어려움을 주는 긴장으로부터 피해 있는 것이 유용할 것이며, 다른 방식으로 가정이 좋지 않다 해도 마찬가지이다. 기숙학교는 아이의 중요한 가정 유대를 지키는 것에 조금 약화된 형태로 이로우며, 오늘날 서구문화권 대부분에서의 평범한 사회 패턴 일부분을 형성하기에, 기숙학교에 가는 아이는 다른 아이들과 다르다고 느끼지 않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일년 중 며칠간은 부모를 해방시켜줌으로써, 아이가 기숙학교에 가 있는 기간동안 부모는 아이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를 발달시킬 수 있다."
이외에, 보울비는 어린 시절 자신이 좋아하는 대부가 사망하는 사건을 겪으면서, 이후 분리(separation) 연구를 수행하는 계기가 되었다
<정신분석가로의 길>
캠브리지 트리니티 컬리지에서 보울비는 심리학과 사전임상과학을 연구하였다. 그리하여 뛰어난 지적 업적을 달성한 것에 대하여 수상하기도 했다. 캠브리지 이후, 22세에 런던의 유니버시티칼리지병원(University College Hospital in London)에 등록하기 전까지, 그는 부적응 아동과 비행 청소년과 함께 작업했다. 26세에, 보울비는 의사자격을 취득했다. 의대 재학 중에 보울비는 정신분석학연구원(Institute for Psychoanalysis)에 들어갔다. 의대 이후, 그는 모즐리병원(Maudsley Hospital)에서 성인정신의학을 수련하였다. 1936년 30세에 그는 정신분석가 자격을 취득하였다.
<연구에 끼친 영향들>
이후 보울비의 연구활동과 애착이론 발전 과정에 있어 중요한 경험으로는 다음 여섯 가지가 있다.
- 프리어리 게이츠 학교에서의 강의를 통해 부적응 아동과 비행청소년들과 함께 연구 작업을 수행하였다.
- 전쟁으로 가족으로부터 떨어져 피난하게 된 아동들과의 연구 수행은 『44명의 청소년 도둑』 집필로 이어졌다.
- 제자 메리 애인스워스의 '낯선 상황(Strange Situation)'이라는 구조화된 관찰 기법, 애착유형 모델 개발, '안전 기지(secure base)' 개념 등의 연구가 보울비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 제임스 로버트슨(James Robertson)은 1952년 어린이들의 짧은 분리 경험에 관한 다큐멘터리 'A Two-Year Old Goes to Hospital'을 만들었다. 이 다큐는 주 양육자로부터 분리된 아동들이 경험한 상실과 고통의 충격을 담아냈으며, 부모 대동 하에 아동들이 병원을 방문할 수 있다는 규제를 바꾸자는 캠페인에서도 활용되었다. 1952년 다큐가 영국정신분석학협회(British Psychoanalytical Society)에서 소개되었지만, 정신분석가들은 아이들이 분리에 대하여 슬퍼하는 것이 아니라 무의식적 환상(unconscious fantasy)에 의한 고통이라고 하였다. 왜냐하면 다큐 안에서 엄마가 임신하였기 때문이다.
- 멜라니 클라인(Melanie Klein)과의 정신분석 훈련 과정. 클라인은 보울비의 감독이었으나, 이 둘은 3세 아동 치료에 있어 엄마의 역할에 대하여 다른 견해를 보였다. 클라인은 엄마에 대한 아이의 환상을 중요시했으나 보울비는 실제 관계 내력을 강조하였다. 보울비는 무의식적 환상이 아닌 아이와 실생활의 사건에 아이가 반응한다고 했으나 정신분석가들은 이 주장을 거부하였고, 이로 인해 보울비는 실제 정신분석학계에서 소외되었다. 이후 보울비는 자신의 관점이 클라인학파와는 이질적이었다고 진술했다. 또한 보울비는 1977년 밀튼 스텐과의 인터뷰에서 정신분석학계는 당시 우세한 무의식적 환상 이론과는 다른 자신의 발달이론(developmental theories)을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진술했다. 또한 보울비는 "당시 열정을 가지고 이를 따르는 그룹이 있었고 다른 그룹은 미온적이었으며 다른 그룹은 적대적인 등 각 전문가들마다 다르게 반응하였다. 사회복지사들은 열의를 보였다. 정신분석가들은 신중을 기하였고 호기심을 보였지만 나에겐 그야말로 짜증났었다. 소아과의사들은 처음엔 반대했지만 나중에는 대부분 지지해주었다. 성인 정신의학자들은 아예 관심이 없었고 무시했었다. 관심이 아예 없었다."라고 말했다.
- 소아과의사이자 아동정신분석가인 도널드 위니컷(Donald Winnicott)은 보울비의 연구와 경력에 중대한 영향을 주었다. 보울비와 위니컷은 유년초기 사회관계의 중요성을 처음 강조하였다는 등의 점에서 유사점이 있다. 또한 이 둘은 사람은 누구나 태어나면서부터 사회적 상호활동(social interaction)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건강한 발달을 위하여 이러한 상호활동을 필요로 하는 소인(predisposition)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보울비는 아동의 환경이 어떻게 내면화하여 아동 발달에 영향을 주는지에 관심을 보인 반면, 위니컷은 어떻게 아동의 내면세계가 작동하고, 이를 통해 외부 사건이 어떻게 내면세계에 영향을 끼치는지에 관심을 보였다. 비록 이들은 연구 접근 방식에서 차이를 보였지만, 보울비는 세계보건기구에서의 연구가가 아동복지 정책에 영향을 주었지만 위니컷의 도움 없인 불가했다고 말하기도 했다. 위니컷은 보울비에 비하여 좀더 임상분야에서 활동을 하였기에, 보울비는 정책 변경에 관하여 일하면서 사회복지종사자들에게 영향을 주기도 했다. 보울비는 위니컷이 자신의 연구를 정책으로 바꿀 수 있는 중요한 인물이었다고 말하였다.
'심리학자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자 소개 9 / 에드워드 존 모스틴 보울비(Edward John Mostyn Bowlby) 2편 (0) | 2022.07.05 |
---|---|
심리학자 소개 8 / 스탠리 밀그램(Stanley Milgram) (0) | 2022.07.03 |
심리학자 소개 7 / 이반 페트로비치 파블로프 (0) | 2022.07.02 |
심리학자 소개 6 / 칼 구스타프 융(독일어: Carl Gustav Jung) (0) | 2022.07.02 |
심리학자 소개 5 / 에릭 홈부르거 에릭슨(Erik Homburger Erikson) (0) | 2022.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