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자 소개

심리학자 소개 6 / 칼 구스타프 융(독일어: Carl Gustav Jung)

심리학자 소개 6 / 칼 구스타프 융(독일어: Carl Gustav Jung)

 

<학자소개>

칼 구스타프 융(독일어: Carl Gustav Jung [ˈkarl ˈgʊstaf ˈjʊŋ], 1875726- 196166)은 스위스의 정신의학자로 분석심리학의 개척자이다.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가문의 전통을 이어받지 않고 바젤 대학교와 취리히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여 정신과 의사가 되었다. 부르크휠츨리 정신병원에서 일하면서 병원의 원장이었던 오이겐 블로일러(Eugen Bleuler)의 연구를 응용해 심리학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이전 연구자들이 시작한 연상 검사를 응용하면서 자극어에 대한 단어연상을 연구하였다. 이 연상은 성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당시 학계에서 자주 금기시 되고는 하였다.

 

그는 특정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지금은 유명해진 '콤플렉스'라는 단어를 사용해 이에 관련된 학설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또한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함께 정신분석학 연구를 하기도 했지만 프로이트의 성욕중심설말고도 알프레트 아들러의 사회심리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1913년을 전후해서 독자적으로 이들의 양립에관한 연구로 분석심리학설을 작업하기 시작했다. 이어서 그는 인간의 내면에는 의식과 무의식의 층들이 있다고 생각하였지만 한걸음 더나아가 특히 개체로 하여금 내면의 무의식들이 통일된 전체를 실현하게 하는 자기원형이 초월적 기능(transcendental function)이 있음을 주장했다.

 

그는 자신의 경험으로부터 심리치료법을 개발하여 이론화하였고 심리치료를 받는 사람들에게 '개체화'(individuation, 또는 자기실현)라고 하는 자신의 신화를 추구하는 과정을 통해 좀더 유연하고 온전한 인격체로 나아갈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는 1914년 사임하기까지 국제정신분석학회 회장을 역임한바있으며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ETH Zürich)의 심리학 교수, 바젤 대학교의 의학심리학 교수로 재직하였었고 8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분석 심리학>

분석심리학(分析心理學, 독일어: Analytische Psychologie, 영어: Analytical Psychology)은 카를 융이 창시한 심층 심리학이다. 무의식을 개인 무의식과 집단 무의식으로 나누고, 집단 무의식 속에 고태형을 가정한다. 꿈이나 신화의 분석을 통하여 무의식적인 내용을 의식화하는 과정을 중시하였다. 흔히 통상적으로 융 심리학이라고도 불린다.

 

컴플렉스(감정복합)의 현상을 연구한 융은 언어연상실험 등을 통해서 심층 심리의 해명을 지향해 당시 정신분석을 제창하던 빈의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알프레트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으로부터 주요한 영향을 주고받았다. 또한 칼 융은 인간의 무의식에관해 프로이트나 아들러 어느 한쪽보다는 이둘을 더 폭넓게 심층적으로 작업하였다. 융은 프로이트가 평생을 통해 주장한 심리의 성적 발달과 인생초기에 성격이 결정된다는 결정론에 국한되지 않고 인간 정신에 대한 분석을 주관적 체험과 현상학을 바탕으로하는 아들러의 사회심리적 요소를 균형있게 체계화하려고 노력하였다. 한편 융은 리비도의 개념을 종래보다 깊게 폭넓은 의미로 다시 정의하며 프로이트와 결별해 집단적 무의식의 존재를 제창하는 과정에서 이의 원형의 개념이 신화학, 민속학, 문화인류학 등의 연구와 연관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비교적 구애받지 않는 심층심리이론을 구성하려는 작업을한것으로 평가받는다.

 

<영혼의 의미와 분석심리학의 성립>

카를 융은, 프로이트(1856-1939)를 시작으로 한 정신분석학의 심리요법가들과는 달리, 당시 아직도 발전도상에 있던 정신의학의 연구자였다. 정신의학의 과제는, 인간의 정신 즉 마음(영혼)에 일어나는, 변조 혹은 병을 연구해, 신체의학에 있어 성공한 것처럼, 병에서의 치료법을 확립하는 것이 큰 목표로 해 있었다.

 

그러나, 정신의 병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고대 그리스에서는, 간질은 신이 가져오는 신성한 병이라고 생각되고 있었지만, 근대 유럽은 그러한 견해를 부정했다. 그렇다고는 해도, 그러면 간질이란 왜, 어떠한 원인으로 일어나는지, 이해하고 있던 것은 아니다. 광의에 광기란 무엇인가가, 확실하지 않았다고 말할 수 있다.

 

현상적 혹은 증상적으로 정신의 장해를 기술해, 분류를 시도한 것은 클트 슈나이더(1887-1967)이며, 슈나이더의 방법은, 오늘날에도 미국 정신의학회(APA)가 정하는 DSM에 증상 기술로서 계승되고 있다.

 

브로일러는 분열병이, 단일적 정신질환이 아니고, 기제가 다른 복수의 질환의 총칭(증후군)일 가능성을 주장하고 있고 복수형으로 표현했다. 후에, 단수형으로 Schizophrenie라고 쓰여지게 된다. 현대의 지견에 대해도, 통합 실조증(정신 분열병)은 단일의 정신 질환이 아니고, 복수의 질환 또는 그것들이 혼잡한 것일 생각이 유력하다.

 

<무의식의 연구와 프로이트와의 교류>

연상 실험의 연구를 통해서, 프로이트와는 독립으로 무의식의 힘동구조를 찾아낸 융은, 무의식의 동역학 구조를 이용해, 정신 분열병의 치료가 가능하지 않은가 라는 전망을 안았다. 그러나, 무의식의 심리현상에 대해서는 미지의 부분이 너무 많아서 융이 배운 정통적인 독일의 정신의학에는, 무의식의 연구는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재야의 심리요법집으로 불리던 사람들 속에는, 무의식의 심리 현상을 잘 아는 사람이 대부분, 쟈네도 또, 심리요법가로서 무의식의 힘동이론을 주창하고 있었던 것이다. 당시에 있어서는, 빈의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무의식의 심리학과 심리요법 이론에 명성을 계속 올리고 있어, 융은 프로이트로부터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하는 한편, 연상실험의 연구로 벌써 무의식의 연구가로서의 지위를 얻던 융과 친교를 연결하는 것은, 프로이트에게도 매우 의미와 가치 있는 것이었다.

 

, 당시의 독일·스위스의 정신의학계에서 지그문트 프로이트를 평가해, 정신분석을 긍정적·적극적으로 승인한 것은 오이겐 브로일러였음도 중요하다. 융은 취리히 대학 정신과의 강사이며, 브로일러의 후계자 후보로서 유력한 입장에 있었다. 정신 분석으로의 융의 접근은, 브로일러의 승인을 얻은 것으로, 더욱, 브로일러는 그러한 융에 기대했다고도 말해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융은 프로이트에게 정신분석을 배워, 프로이트가 가지고 있던 무의식 중에 붙은 풍부한 지견을 배움과 동시에, 무의식의 구조나 그 역동에 대해서, 철저한 논의를 주고 받았다. 후에 융은 자전에 기록하고 있지만,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해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것은 프로이트의 제자와 추종자, 공동 연구자들에게도 마찬가지였다. 융의 주제인, 조현병의 역동을, 프로이트의 이론에서는 해독할 수 없었고, 치료법의 지침도 또 제시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