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5)
심리학자 소개 9 / 에드워드 존 모스틴 보울비(Edward John Mostyn Bowlby) 2편 심리학자 소개 9 / 에드워드 존 모스틴 보울비(Edward John Mostyn Bowlby) (모성박탈) 1949년, 비행청소년과 애정결핍 아동들에 대한 연구, 그리고 병원 및 시설에서의 아동 보호 효과에 관한 연구로 인하여, 보울비는 전후 유럽의 전쟁 고아들의 정신 건강에 관한 세계보건기구(WHO) 보고서 작성을 위임받았다. 그 결과 1951년 『모성 양육과 정신건강(Maternal Care and Mental Health)』이라는 서적이 나왔다. 보울비는 유럽과 미국에 걸쳐 있는 제한된 경험 증거들을 모았다. 이를 통해 보울비가 내린 결론으로는, 영아와 어린 아이들은 따뜻하고 친밀하며 지속적인 엄마 혹은 엄마를 대체하여 오래 있어줄 수 있는 사람과의 관계를 경험하여, 엄마와 아이 모두가 만족과 기..
심리학자 소개 9 / 에드워드 존 모스틴 보울비(Edward John Mostyn Bowlby) 1편 심리학자 소개 9 / 에드워드 존 모스틴 보울비(Edward John Mostyn Bowlby) 에드워드 존 모스틴 보울비(Edward John Mostyn Bowlby, 1907년 2월 26일 ~ 1990년 9월 2일)는 영국의 심리학자, 정신과의사, 정신분석학자이다. 아동발달(child development)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애착이론(attachment theory)을 창시하였다. 2002년 발행한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조사에서 보울비는 20세기 가장 많이 인용된 심리학자 49위에 올랐다. 7세 무렵, 보울비는 기숙학교에 보내졌다. 당시 같은 계층 소년들에게 있어 이는 흔한 일이었다. 보울비의 부모는 보울비와 형 토니(Tony)를 사립초등학교(pr..
심리학자 소개 8 / 스탠리 밀그램(Stanley Milgram) 심리학자 소개 8 / 스탠리 밀그램(Stanley Milgram) 스탠리 밀그램(Stanley Milgram, 1933년 8월 15일 ~ 1984년 12월 20일)은 미국의 사회심리학자이다. 하버드 대학교 재직 중 '작은 세상 현상'을, 예일 대학교 재직 중에는 '복종 실험'으로도 불리는 밀그램 실험(Milgram experiment)을 수행해 대단한 사회적 파문을 일으켰다. 1984년 심장마비로 뉴욕에서 사망했다. 초기생애 스탠리 밀그램은 1933년 뉴욕에서 유대인 가정에서 헝가리인 아버지와 루마니아인 어머니의 아이로 태어났다. 밀그램의 아버지, 사무엘은 빵집 주인으로 일하며 얼마 되지 않는 수입으로 1953년 사망할 때까지 가족을 부양하였다.(그 이후로 스탠리의 어머니, 아델이 빵집을 이어 받아 운영..
<성격심리학 5장> 성격과 호르몬 1. 성격은 어디서부터 왔는가? 갈렌의 체액설(초기 모델)에서 갈렌(Galen)은 대략 서기 150년 전후부터 성격이 신체의 네 가지 체액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 한 가지 체액의 과다는 특정 유형의 성격을 야기한다. 고전적 해석으로 혈액이 과다한 사람은 낙관적이고 쾌활함, 검은 담즙이 과다하게 많은 사람은 우울하고 슬픔, 노란 담즙이 많은 사람은 화를 잘 내고 성마름, 점액이 체내에 과다한 사람은 침착하고 냉정하다고 했다. 현대적 해석으로는 혈액이 과다한 사람은 외향적이고 정서적으로 안정됨, 흑담즙이 과한 사람은 신경증적이고 내향적임, 노란담즙이 과다한 사람은 외향적이면서 신경증적이라 한다. 최근 연구들은 점액이나 담즙에 근거하기보다는, 신경전달물질과 호르몬에 초점을 둔다. 2. 신경전달물질과 성격 ..
심리학자 소개 7 / 이반 페트로비치 파블로프 심리학자 소개 7 / 이반 페트로비치 파블로프 이반 페트로비치 파블로프(러시아어: Иван Петрович Павлов, 1849년 9월 26일 ~ 1936년 2월 27일)는 러시아의 생리학자이다.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에서 화학과 생리학을 전공하였고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임피리얼 의학 아카데미에서 의사 자격증을 취득하여 1890년부터 1924년까지 생리학 교수로 재직하였다. 1902년에 타액이 입밖으로 나오도록 수술한 개로 침샘을 연구하던 중, 사육사의 발소리로 개가 침을 흘리고 있던 것을 발견한 것을 계기로 고전적 조건화 실험을 실시했다. 하지만 개를 이용한 실험때문에 동물학대를 했다는 비평을 받기도 했다. 대표적인 실험으로 '파블로프의 개'가 있으며, 조건반사를 연구했다. 초기에는 소화 기관의 연구를 ..
심리학자 소개 6 / 칼 구스타프 융(독일어: Carl Gustav Jung) 심리학자 소개 6 / 칼 구스타프 융(독일어: Carl Gustav Jung) 칼 구스타프 융(독일어: Carl Gustav Jung [ˈkarl ˈgʊstaf ˈjʊŋ], 1875년 7월 26일 - 1961년 6월 6일)은 스위스의 정신의학자로 분석심리학의 개척자이다.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가문의 전통을 이어받지 않고 바젤 대학교와 취리히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여 정신과 의사가 되었다. 부르크휠츨리 정신병원에서 일하면서 병원의 원장이었던 오이겐 블로일러(Eugen Bleuler)의 연구를 응용해 심리학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이전 연구자들이 시작한 연상 검사를 응용하면서 자극어에 대한 단어연상을 연구하였다. 이 연상은 성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당시 학계에서 자주 금기시 되고는 하였다. 그는..
<성격심리학 4장> 성격과 행동유전학 1. 정의 행동유전학이란 사람과 동물에 있어 본성과 개인차의 기원을 연구하기 위해 유전학적 방법과 연구 설계에 관심을 둔 심리학의 한 영역이다. 유전자의 발현과 사람의 행동 사이의 관련성을 연구하는 유전학, 행동학, 심리학이 융합된 학문이다. 과학자들이 유전이 행동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에 관해 깨닫기 시작한 이래로 본성 대 양육의 논쟁은 지속되어 왔다. 하지만 현재는 유전과 환경계수를 산출한다. 즉 몇 퍼센트의 유전과 몇 퍼센트의 환경적 요인이 행동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고자 한다. 이제 본성이 우선이냐, 환경이 우선이냐 하는 문제는 더 이상 무의미한 논쟁이다. 2. 행동유전학의 주요 용어 염색체(Chromosomes) 세포 내에서 발견되는기다란 DNA. 가닥으로 이루어진 구조물로, 유전의 단위인 유전자..
심리학자 소개 5 / 에릭 홈부르거 에릭슨(Erik Homburger Erikson) 에릭 홈부르거 에릭슨(덴마크어: Erik Homburger Erikson, 1902년 6월 15일 ~ 1994년 5월 12일)은 덴마크계 독일인, 미국인 발달심리학자이자 정신분석학자이다. 인간의 사회성 발달이론으로 유명하고 '정체감 위기'(Identity Crisis)라는 말을 만들어 냈다. 주요 업적은 인간의 전 생애에 걸친 발달 심리학(life span developmental psychology)을 다룬 것이다. 프랑크푸르트에서 덴마크인 부모에게서 태어난 에릭 에릭슨은 어린 시절부터 평생에 걸쳐 정체감에 대한 심리학에 관심을 가졌다. 1902년 6월 15일 태어났고, 그의 친아버지는 그가 태어나기 전에 어머니를 버리고 떠났고, 그의 어머니는 3년 뒤에 유대인 의사와 재혼했다. 에릭 에릭슨은 성인이 ..